2026년 최저시급 완전정리 (주휴수당, 실수령액 계산)

 

2026년에 적용될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 이는 올해 시급 10,030원에서 290원(약 2.9%) 인상된 금액인데요.

특히 이번 최저임금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표결 없이 근로자, 사용자, 그리고 공익위원이 합의해 확정된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

아르바이트·알바생·직장인 누구든 이 변화를 알고 있으면 월 소득 계산·계획 짤 때 유리하죠. 아래에서 세부 사항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.



최저시급 모의계산기👆🏻


2026년 최저시급 월급

  • 시간급: ₩10,320/시간

  • 주 40시간, 월 209시간 근무 기준 월급 환산액 (주휴수당포함):
    ₩10,320 × 209시간 = ₩2,156,880원

  • 참고: 월급 근무일수가 달라지거나 주휴 등이 추가되면 실제 받는 금액은 달라질 수 있어요.



    2026년 최저시급 주휴수당

    주휴수당이란?

   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서 결근 없이 일주일을 채운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법정 수당입니다. 단순히 일한 시간에 대한 임금이 아니라, 유급휴일 보장 개념으로 지급됩니다.


    ✅ 주휴수당 계산 방법

    주휴수당은 1일 평균 근무시간 × 시급으로 산출합니다.

    예시) 주 40시간 근무자라면 1일 근무시간: 8시간

    주휴수당 = 8시간 × 10,320원 = 82,560원


      ✅ 월급 산정 예시

     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는 주휴수당까지 포함월 총 209시간을 계산합니다.

      👉 209시간 × 10,320원 = 2,156,880원(세전)



      2026년 최저시급 실수령액

      실수령액은 세금, 4대보험, 근무시간, 초과근무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아래 예시로 개략적으로 계산해볼게요.


      ① 풀타임 근무 (주 40시간 + 주휴수당)

      • 주 근무시간: 40시간

      • 주휴수당: 8시간 추가 인정

      • 총 48시간 × 4.345주 = 약 209시간/월


      👉 세전 월급 = 10,030원 × 209시간 ≈ 2,097,000원

      여기서 4대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 등) 공제를 하면 실수령액은 약 1,930,000 ~ 1,950,000원 예상됩니다.


      ② 파트타임 근무 (주 20시간 + 주휴수당)

      • 주 근무시간: 20시간

      • 주휴수당: 4시간 추가 인정

      • 총 24시간 × 4.345주 = 약 104시간/월


      👉 세전 월급 = 10,030원 × 104시간 ≈ 1,043,000원

      4대보험 미가입(알바 기준) 시 그대로 지급, 가입할 경우 약 990,000원 전후 실수령 예상됩니다.



      2026년 최저시급 계산기

      최저임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내 월급 또는 실수령액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      고용노동부 ‘최저임금 모의계산기’ 페이지에서는 근무시간·주휴수당 등 여러 항목을 직접 입력해 실수령액에 가까운 금액을 예상해볼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세요.


      최저시급 모의계산기👆🏻


      ✅ 기본 시급 또는 시간당 근무 시간을 입력하세요.
      ✅ 주휴수당 여부 및 휴무일 포함 여부를 선택합니다.
      ✅ 세전 금액 vs 세후 공제 항목(사회보험, 세금 등)을 고려해 입력.
      ✅ 월 근무시간(예: 주 40시간 × 근무 주 수) 또는 일수로 계산하여 월급 예상치액 확인.



      마무리 및 팁

      • 2026년 최저시급 시급 ₩10,320원은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      • 아르바이트·파트타임 근로자도 동일 기준이며, 외국인·청소년 근로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
      • “최저시급 위반”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, 계산기 사용 + 급여 명세서 요청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      다음 이전